💻 2025 디지털 일자리 사업
“월 최대 190만 원 + 경력까지 챙기는 방법”
청년에게는 실무 경험과 정규직 전환 기회!
✨ 디지털 일자리 지원 사업이란?
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디지털 분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기업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돕는 사업입니다!
✔︎ 주로 디지털 신기술 활용 직무 또는 언택트 업무 환경 관련 일자리가 대상이며, 정부는 이를 위해 청년 채용 기업에 인건비 등을 지원합니다.
2025년 핵심 변경 포인트 ✨
✔️ 월급부터 실무까지 정부 돈으로 테스트해 볼 수 있는 6개월!!
①인건비 부담 ↓ = 채용 ↑ → 기업 1명당 720 만 원(180 만×4개월 기준) 절감
② 청년은 ‘경력 0 → 6 개월 실무’ + ⚡보너스 → 정부가 임금 대부분을 지원해 군입대·코로나 이후 경력 공백 메꾸기에 최적.
③ 재택·하이브리드 근무 OK → 올해부터 비대면·재택 직무도 공식 포함, 여성·지방 거주 청년 호응↑.
한줄 요약✅ → “경력은 없지만 디지털 직무로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다?” → 월급부터 실무까지 정부 돈으로 테스트해 볼 수 있는 6개월!!
1. 지원 내용 한눈에 보기 📝
① 청년디지털일자리 (일반) →
• 기업 지원액 : 월 180 ~ 190 만 원 + 간접노무비 10 만 원
• 청년 실수령 : 기업지급 임금(정부가 대부분 보전)
• 지원 기간 : 최대 6 개월
② 여성디지털일자리 (경력단절 포함) →
• 기업 지원액 : 월 80 만 + 직무교육 20 만 = 100 만 원
• 청년 지원 : 평균 80 ~ 100 만 원
• 청년 실수령 : 기업지급 임금(정부가 대부분 보전)
• 지원 기간 : 최대 6 개월
Tip💡 ─ 6 개월 이후엔 정규직 전환 여부를 기업이 자율 결정하지만, 고용부 통계상 전환율 45 % 가량으로 실채용 효과가 높습니다.
2. 📝 지원 대상 • 금액 요약
① 기업 →
• 5 인 이상 중소·중견·벤처기업(창업 3년 미만·문화콘텐츠 기업은 1 ~ 4 인도 허용)
• 유흥·부동산·임금체불 사업장 제외
② 청년 →
• 나이 : 만 15 ~ 34세(군필 복무기간만큼 연장)
• 고용보험 : 채용일 기준 ‘미가입’ 상태
• 학력 : 재학생·휴학생 제외, 졸업(예정)자 가능
• 중복 참여 : 과거 디지털·일경험 사업 참여 이력 없어야
3. 신청 👉 5분 컷 로드맵
① 기업 담당자 →
• 고용24(work24.go.kr) 로그인 → ‘디지털일자리’ 참여 신청
• 채용계획서 업로드 후 승인 메일 수신
② 청년 →
• 워크넷·잡코리아 등에서 ‘디지털일자리’ 공고 검색
• 면접·채용 후 근로계약서 및 4대보험 가입
4. 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재학생도 가능한가요?
A. ❌ 고등·대학 재학·휴학 중이면 참여 불가. 졸업예정자는 OK.
Q2. 월급은 정부가 주나요?
A. 정부 → 기업에 보조금 → 기업이 급여 지급. 근로계약서 기준 임금은 반드시 최저임금 이상.
Q3. 6개월 뒤 퇴사하면?
A. 기업은 지원금 환수, 청년도 동일 사업 재참여 제한.
Q4. 다른 일경험 사업과 중복?
A. 디지털·청년내일dream 등 일경험 사업과 중복 불가, 도약장려금·두루누리는 가능.